출처 http://cafe.naver.com/iroid/738119
가장 먼저 본 속도 비교 동영상은 위의 동영상입니다.
네이버를 비롯해서 인터넷상에 많이 퍼졌더군요. 저도 이걸 보고, 우와 DDR2램이 역시 다르긴 다르구나..라고 생각했죠.
그런데 반박 여론들이 일기 시작하더라고요.
뭔가 했더니, 위의 동영상 속 옵티머스 마하는 시중에 나와있는 모델이 아닌, 시료폰 즉 샘플폰이라고 하는 여론들이었습니다.
영상 조작 여론들이 일어도 진위여부를 잘 알지 못하고 있던 중 많은 반박 영상들이 하루 이틀만에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그것도 위의 영상처럼 자사에서 내놓은듯한 전문 영상이 아닌,
유저나 일반 스마트폰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만든 것 같은 영상들로요....
( 영상이 재생되지 않으니 보실분들은 http://cafe.naver.com/iroid/738119 )
가장 위에 있는게 베가 X, 가운데에 있는게 마하, 마지막이 옵큐입니다.
베가X에서 내놓은 영상을 보려고 베가X 마하라고 유투브에 검색해보니 많은 영상들이 나오더군요.
그 영상 중에 하나이고, 옵큐는 업글이 되지 않은 거고 그냥 넣은 거니 신경쓰지 말라는 멘트가 있었고요.
위의 영상을 직접 찍은듯한 유투브 글쓴이는 베가X와 마하를 비교해놓은 처음 영상은 사기임이
밝혀졌다고 하는군요.
(영상이 재생되지 않으니 보실분들은 http://cafe.naver.com/iroid/738119 )
출처
http://www.youtube.com/watch?v=YFQA2WxiR2s
계속해서 위의 영상을 중요부위만 잘라놓은 영상이고요.
위 영상에 따르면 마하가 가장 빠른편이지만, 사실 크게 다른 속도의 차이는 나지 않고 있습니다.
어차피 이미 스마트폰 시장은 초반의 스마트폰들과 다른 안정적인 체제를 이루게 됐고,
이제 초기와 달리 웬만한 스마트폰들이 괜찮은 스펙들로 나오는 편이니까요.
맨 위에 있는 영상을 보고, 몇 분 차이도 아니고 고작 몇 초 차이라는 반응들도 많았습니다.
이건 다른 영상이에요. 다른 사람이 만든 영상같더군요.
영상의 질이 안좋은 점은 양해부탁드립니다. 아무래도 업체가 아닌 개인이 만든 영상이다보니
영상의 질이 떨어지는듯하네요.
이 영상에서 하얀색 아래에 있는 스마트폰이 베가X고, 위의 스마트폰이 마하입니다.
위에 세 개의 스마트폰을 비교해놓은 영상과 마찬가지로 마하가 가장 빠른 모습입니다.
유투브는 빠르게 나온 스마트폰도 시간이 좀 걸리네요.
영상이 재생되지 않으니 보실분들은 http://cafe.naver.com/iroid/738119 )
이 영상에서 웹 브라우징을 하는 모습은 거의 비슷한 걸로 보입니다.
이 영상에서의 속도차이때문에 고민하는 분은 없을듯;;ㅎㅎ
베가X가 디자이어를 비롯해서 많은 스마트폰들과의 속도 경쟁을 영상으로 담았는데요.
반박 영상까지 올라오고 많은 여론이 그 영상에 대한 신뢰도를 의심하는 것을 보면,
무언가 잘못된게 있지 않았나 합니다.
스마트폰에 관심 많은 사람으로서, 안타깝기도하고....
DDR2램을 장착했다 하여 기대했다가 통신사별로 다르고 LG 에서는 DDR1램이라는 소릴 듣고 허탈하기도
했습니다.
베가X 스펙이 다르네? KT/LGU+ 스펙 차이 확인해야
- 팬택의 스카이 베가X, KT와 LG유플러스로 출시되었으나 스펙 차이가 커 소비자 혼동 우려
팬택의 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스카이 '베가X(Vega Xpress)'가 KT와 LG유플러스 양 통신사로 출시 되었다.
베가X는 4인치 대화면 디스플레이와 2세대 스냅드래곤, 국내 최초 DDR2 메모리 탑재로 인한 빠른 속도 등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는데, KT 용과 LG유플러스 용 제품이 스펙 차이가 있어 소비자 혼동이 우려된다.
KT용 베가X(IM-A710K)는 잘 알려진대로 2세대 스냅드래곤이라 불리는 퀄컴 MSM8255 1GHz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512MB의 DDR2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다.
이에 반해 LG유플러스용 베가X(IM-A720L)는 1세대 스냅드래곤인 퀄컴 QSD8650이 탑재됐고 DDR2 메모리가 빠졌다.
즉, 1세대 스냅드래곤 QSD8250, QSD8650 보다 그래픽 성능과 제조 공정이 개선된 MSM8255 칩셋과 DDR2 메모리의 탑재로 성능 향상을 이룬 것은 KT용 베가X이고, LG유플러스용 베가X는 기존의 스마트폰과 별반 차이가 없는 내부 스펙을 가진 것.
실제 사용시간과 통화 대기 시간도 KT용 베가X가 더 길다.
2세대 스냅드래곤은 45nm 제조 공정으로 소비 전력을 줄였기 때문으로, KT용 베가X는 연속통화 440분, 연속대기 341.7시간이나, LG유플러스용 베가X는 연속 통화 330분, 연속대기 258시간으로 꽤 긴 시간 차이를 보인다.
이외에 두 베가X는 디자인에 조금 차이가 있으며 무게는 KT용 베가X가 0.1g 더 무겁다.
출처 : 국내 최대 IT/디지털 미디어 케이벤치 www.kbench.com
http://www.kbench.com/digital/?no=94469&sc=1
사실 무게 차이야 0.1g 이기때문에 그렇다치고.... 소비전력 차이나, 메모리 차이는 꽤나 큰 문제인데 말이죠.
KT 베가X라고 cf하는 것도 아니고...그냥 베가X라고 속도비교하고, 광고하는데..
한 스마트폰 내에서 너무 많은 스펙차이가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위의 영상들중 어떤 것이 맞다 라고 강요하진 못하겠지만,
여러 정황들로 볼때 소비자들에게 실망감을 주는 홍보전략은 지양하는 게 어떨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거참...밑에 분도 그렇고 이 분도 왜 여기와서 이런 글을 올리시는지...
엘지가 올해는 2위자리 차지하겠다는 것이 이런 전략인가요??
온라인 알바양성???
그냥 스마트폰 개발에만 힘쓰시지...-_-
그냥 엘지쪽에서만 올리세요.
마하나 2X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여기 오지않고, 엘지게시판을 읽을 겁니다.
그리고 베가X 엘지유플러스 스펙다운은 신문기사 좀 읽으세요
엘지유플러스 망때문에(리비전) KT랑 동일 CPU 못가고, CPU가 못 따라가니 메모리도 변경된 겁니다.
마하랑 비교 동영상보면 죄다...엘지유플러스용 베가X랑 비교한 것만 올라와 있네요.-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