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아래에 드로이드의 동영상 재생 능력에 관해 글을 썼는데, 관심이 있으신 분도 계신 듯 하여 다시 정리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먼저, 제가 만들어 둔 샘플입니다.
http://www.divinebuster.com/android_video/LuckyStar_OP.mp4

설정은 854x480, 30 프레임, CBR 3500, keyframe 은 3 입니다.
배경에 프로그램을 돌리고 계시는 중이 아니라면 웬만해서는 잘 돌겁니다만, 상황에 따라 조금 버벅일 수는 있을 듯 합니다.

팟인코더에서 설정하실 경우, 화면 설정에서는 화면크기는 사용자 입력, 잘라내기/확장은 사용하지 않음으로 하시고, 화면 비율 유지도 꺼 두시는 편이 좋습니다.


플레이어는 Meridian Player 라는 것을 추천합니다.
현재로선 이게 자막을 지원하는 유일한 플레이어입니다.

자막은 srt 방식을 지원하는데, 이 방식의 자막을 만드시려면 일단 Subtitle Workshop 이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일단 설치하시면 Settings|Settings|Charsets (General 아래에 있습니다) 에 가셔서 Hangul 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둘 다)

그런 후 이제 이것으로 smi 자막을 여시고 바로 새 이름으로 저장(Save as)에 가셔서 SubRip 방식으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단, 여기서 끝이 아니라 중요한 한 단계가 더 있습니다.
저장했을 때는 한글 코드로 저장이 되는데, 이 상태로는 드로이드에 넣어봐야 글자가 다 깨져서 나옵니다.  그러니 메모장 등으로 여신 뒤, UTF-8 방식으로 다시 저장하시면 됩니다.  (저장하시는 창 맨 아래에 설정이 있습니다)

이제 동영상과 같은 이름에 확장자만 srt 인 것을 드로이드에 밀어넣으신 후 Meridian Player 로 돌리시면 자막이 나올 겁니다.
그런데 혹시 자막 주변 배경이 검게 나와서 동영상을 가린다면, 플레이어의 설정에 가셔서 (Menu | Preferences) Transparent subtitle 이라는 박스를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솔직히 자막이 좀 작아서 보기 힘든 면도 있긴 한데...  나중에 제작자가 자막 폰트 조절 기능도 넣어줄지 모르겠습니다만, 아직까진 별다른 방법이 없는 듯 합니다.  srt 방식은 시간/내용 뿐, smi 처럼 자체 내에 크기, 색 같은 것을 조절할 수 있는 태그 기능이 없습니다.

그럼 드로이드로 동영상을 보시려는 분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P.S. 용어설명.
(요즘은 툴이 쉬워져서인지 인코딩 관련 각 용어조차 모르시는 분들이 많기에 몇가지 간단하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비트레이트 (bitrate) - 특정 시간동안 처리되는 용량의 표기법으로, 보통 인코딩에선 동영상의 초당 할당 비트 용량을 뜻합니다.  기본 단위는 Kbits/s 로, 비트레이트 2000 이라면 초당 250KB 를 할당했다는 의미입니다.  너무 낮으면 용량이 충분치 못해 버벅대고, 너무 높으면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해 버벅댑니다.  드로이드용 854x480 해상도라면 웬만한 애니의 경우 1500~2500 사이를 추천합니다.   (오프닝 정도만 따로 하실 거라면 좀 더 올리셔도 좋겠죠)

CBR (Constant Bitrate) - 어떤 상황에서든 고정된 용량만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상당히 이전에나 쓰이던 방식이긴 합니다만, 안정된 재생을 할 수 있습니다.  최종 용량의 계산이 거의 확실합니다.  (요즘엔 용량을 덜 할당할 필요가 있을 땐 줄이기는 하는 것 같습니다만)  CBR 은 언제나 1-Pass 뿐입니다.

VBR (Variable Bitrate) - 움직임이 없거나 적은 경우엔 적은 용량을, 움직임이 많거나 빠른 경우에는 많은 용량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론적으로라면 더 적은 용량에 CBR 과 동일한 화질을 낼 수 있다고 합니다만, 동일 설정에서 그것은 일단 무리입니다.  하지만 용량은 분명히 줄어들므로 설정 자체를 더 올림으로써 CBR 보다 용량이 적으면서 전체적으로 더 화질이 좋은 영상을 만들어 낼 수는 있습니다.  단 급격한 비트레이트의 변화가 따라오므로 사양이 부족한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선 재생이 안정적이지 못할 수 있습니다.

2-Pass - 일단 동영상을 먼저 체크해서 보다 용량을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첫번째엔 체크, 두번째에 진짜 인코딩을 하므로 두번 돌기에 2-Pass 라 부릅니다.  CBR 과 VBR 의 중간쯤 되는 위치로, 전체적으로 급격한 비트레이트 변화를 약간 줄여주기도 합니다만 대신 움직임이 빠른 부분에선 1-Pass VBR 보다 화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3-Pass 나 4-Pass 등도 있는데, 무조건 많이 체크한다고 좋은 건 아닙니다.  휴대폰용으론 여전히 비추입니다.

키프레임 (Keyframe) - 동영상은 기본적으로 연속된 그림의 모음이지만 모든 그림이 완전한 그림일 경우 여러가지로 효율이 떨어지기에 중간 중간 한장씩 완전한 그림을 넣고, 그 외에는 그 완전한 그림으로부터 움직임을 계산하거나, 달라진 부분만을 기록하거나 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됩니다.  키프레임이란 이런 완전한 그림을 말하는 것으로, 각 키프레임간의 간격이 넓을수록 동영상의 용량이 줄어듭니다만, 대신 움직임이 많을 수록 다음 키프레임까지의 화질이 떨어집니다.  요즘엔 장면 전환마다 자동으로 키프레임을 넣어주는 인코더가 많습니다.
설정의 경우 주로 "몇 프레임마다 키프레임을 넣는가" 또는 "몇초마다 키프레임을 넣는가" 중 하나인 경우가 많은데, 팟인코더의 경우 초 단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휴대폰용의 경우 기본 값이 3 으로 되어있는데, 움직임이 빠르고 많은 동영상이라면 설정값을 조금 낮춰주고 (1 이나 2 등으로), 움직임이 없는 동영상이라면 조금 높여주면서 테스트 해 보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