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맵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몹시나 흠모하고 있는 한 청년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위치를 가져오는 과정중에 실내 실외에 대한 현재위치 정확도에 의문이 생겨 이것저것 검색을


해봐서 찾게된 내용이 있습니다. 


찾은 내용으로 구글맵에서는 MLE (maximum likelyhood estimation) 기반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는 사실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centroid-based technology 알골을 버리고 이 알골을 사용하면서 정확도가 30m 가량이 좋아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바로 MLE 에 대해서 검색을 해 보았죠.. 그랬더니 최우추정법 이라고 나오고 그 아래에 이것에 대한 설명이라고 나와있는데 


영 이해가 안가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혹시 이 알골에 대해서 아시는분이 있으시다면 쉽게~쉽~게 설명좀 해주신 다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