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을 서비스하다보면, 알수없는 장애가 많이 발생합니다.

어플이 끄덕하면 죽는데, 모두 다 try catch 하면...죽지는 않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수없어 사람들의 원성을 사게 됩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좋은 라이브러리를 누가 만들어놨내요.

acra라고, 어플Crach시 메모리상태를 기록했다가, 다음번 구동시 서버에 보고합니다.

마치, 크롬에서 죽었다 살아나면, 다시 복귀할래?하고 인지하는것처럼요.

사용법은 http://code.google.com/p/acra/ 여기에 있습니다.

구글링하다 발견했는데, 구글Docs에 문서 하나 열어놓고 거기로 쏘게 하면 된다고 하내요.

활용해보세요.

---

미국애들은 설명을 너무 글로만 달려는 경향이 있어서...구글Docs를 안사용해서 먼소린지 몰라서 한참 해맸습니다.


한국말로 좀 간단하게 여기 써봅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을 이미 할줄 아시는분을 기준으로)

1. 사이트에서 jar파일을 받아서 프로젝트에 넣는다. 
(다운받은거 탐색기에서 마우스로 긁어다가 libs에 넣고, properties에서  라이브러리 추가하는건 안드로이드 개발자라면 기본! ㅡ.ㅡ)

2. 구글Docs에 들어가서, 왼쪽 메뉴에 New랑 Upload라는거 두개 있는데, Upload를 클릭한다.
    사이트에서 다운받은 파일중 csv 파일을 넣어버린다.

여기서부터 중요한부분.

새로 생성된 문서는 Spreadsheet라는 포멧입니다. 엑셀포멧이죠.
그리고 위 사이트 설명엔 Form이 어쩌구 저쩌구합니다. 먼소린가 했내.

엑셀에 한줄한줄 입력하는걸, 해당 문서에서 바로 하는게 아니라, 특정 페이지를 통해서 입력을 받는 방식이 있습니다.
그걸 위해 Form이라는걸 생성합니다. (메뉴에서 Form을 생성한다고 하면 팝업창이 뜸)

떠있는 팝업창에서 설명에 아무거나 써준후 Save를 해줍니다. (그냥 폼하나 만드려고)

그럼 상단이든 하단이든 (크롬은 하단에 파랑색으로) URL이 보입니다.

그 URL의 key라고 하는 파라미터를 사용하는거였습니다.


3. 그럼 프로젝트에선 어떻게 적용하냐.

   Application를 extends하는 클래스를 만들어서 OnCreate()에다가 위 사이트 나온것처럼 추가하고
   Manifest에서 Application이라는 부분에 atrribute의 name="좀전에 생성한 클래스명" 합니다.

저도 사실 Application을확장한부분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는 자세히 모릅니다.
누가 추가설명 부탁해요

여튼 이렇게 하면, 오류가 날때, 알아서 구글문서로 쏴줍니다.
usb연결해서 LogCat보시면 해당내용이 나옵니다.
혹시 잘못한 부분이 있다면 거기에 ARCA 오류메시지가 나오니 참고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