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는 듀얼코어 CPU를 탑재한 하이엔드폰들이 대거 나올 예정입니다.
여기 NVIDIA가 말하는 듀얼코어 CPU를 써야 하는 5가지가 있습니다.
1. 빠른 웹페이지 로드 속도
멀티코어가 들어가면 웹페이지 안에 들어가는 자바스크립트, 플래쉬등을 CPU마다 독립적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현재 플래쉬가 들어간 페이지를 뛰우면 좀 느려지는 현상이 있는데 많이 개선되겠죠.
아래 웹브라우저 관련 벤치마킹을 두개 살펴보면 확실한 성능 차이를 보실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성능은 싱글코어에서 하는 것보다 약 70% 정도 바르고
평균 페이지 로딩 타임은 약 50% 정도 빠릅니다.
2. 같은 일을 하는데 더 적은 전력 소모
같은 작업을 처리하는데 40%정도의 적은 전력을 소모합니다.
테그라는 작업을 두 프로세서로 나누어서 처리할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효율적 처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 멀티코어이야기가 나오면 배터리 이야기가 꼭 같이 나오는데 멀티코어 기술은 폰에서는 배터리 때문에
동작 클락을 높여 성능을 높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멀티코어로 접근하게 됩니다.
3. 고성능의 게임 플레이
던전 디펜더와 같은 하드코어 게이머를 위한 고성능 게임도 원활히 돌아갑니다.
던전디펜더를 싱글코어에서 구동했을때 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두배이상 빨라지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4,5. 높은 반응성과 부드러운 UI, 빠른 멀티태스킹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더 높은 반응성을 보여주게 됩니다.
안드로이드 같은 멀티 태스킹이 가능한 운영체제에서 음악을 들으며 웹브라우진을 하면서 이메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평소 구동 속도가 빠르더라도 때때로 시스템이 느려지는 것을 느끼게 되는데 그런 문제를 없애고 더욱 부드럽게 사용할수 있게 됩니다.
내년초부터는 멀티코어의 시대가 열리고 일단 테그라가 그 첫문을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여주고 실제 느낄수 있을지 기대가 되네요.
- tegra-2-web-browsing-510x282.jpg (37.5KB)(14)
- nvidia-tegra-cpu.jpg (53.4KB)(6)
- tegra-2-moonbat-benchmark-510x318.jpg (29.2KB)(6)
- tegra-2-web-page-loads-510x313.jpg (31.2KB)(6)
- tegra-2-lower-power-510x487.jpg (54.3KB)(5)
- dungeon-defenders-510x287.jpg (57.8KB)(10)
- tegra-2-quake-510x312.jpg (39.5KB)(7)
- tegra-2-dungeon-defenders-510x354.jpg (34.4KB)(13)
- tegra-2-coremark-2-510x328.jpg (27.1KB)(9)
1.6부터 써오면서 요번달 2.2를 기다리게 만드는 것과같이..이러한차이는
우리네 컴퓨터처럼 그것도 베터리효율이 더좋고 속도또한 좋다면 정말 최고란 생각이드네요^^ 기대해야겠습니다..ㅎㅎ
언젠가는
그래픽카드 바꿨다고 자랑하면서
주머니 안의 폰을 꺼내서 보여줄지도..
폰이 좋아지는건지
컴퓨터가 작아지는건지 햇갈리네요ㅋㅋㅋㅋ

의문점은.. 앱 개발시에 듀얼코어를 염두에 두고 개발해야 하는지입니다.
아니면 OS 또는 특정 미들웨어가 자동으로 멀티 코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하느데 말이죠..
아니라면.. 이 또한 개발자들을 괴롭히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도 있겠네요..
뭐 .. 전 개발자는 아닙니다만.
글쎄요.. 아직까지 듀얼코어스맛폰이 필요가있을까요???????? 듀얼코어로는 태블릿pc나 필요할거같고 길거리에서 고성능3d게임하지않는이상 그렇게까지 필요없을듯 합니다. 하드웨어성능은 올라가겠지만 운영체제가 제대로 받춰져야겠지요. 데탑을 보더라도 현재 최고의 OS인 윈도우7도 하드웨어를 못받쳐주기로 유명합니다.
듀얼코어의 진정한 의미를 잘 모르신 분들을 잘 모르신것 같아서 간단명료하게 쓰겠습니다.
1. CMOS 공정을 가지는 반도체 회로에서는 동작주파수가 올라가면 전력소모가 심해집니다.
2. MHz 까지는 어느정도는 지금까지는 어느정도 괜찮다라고 싶은 정도였지만
3. GHz 단위까지 가면 사실상 기하 급수적으로 전력소모가 심해진다고 보면 됩니다.
4. 주파수 증가로만은 비약적인 성능향상을 끌어올리기가 힘들기 때문에 코어를 추가 확장하고
5. 동작 주파수를 낮추는 연구를 현재 MP SoC 학회에서는 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123의 근거는 http://www.yes24.com/24/goods/3519090?scode=032&srank=1 이책의 중간-뒷부분에 나와있구요
45 근거는 http://thislmm.com/attachment/cfile3.uf@1661F71F4C706FA14B84E1.pdf 이것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6. 추가적으로 MPsoc 만들어도 사실 소프트웨어 설계에 아주 종속적이기때문에 역시 결론은 SW입니다
결론1. 멀티코어를 사용하는 핵심적인 이유는 동일한 성능에 동작 주파수를 낮추는데 주된 목적이 있습니다
결론2.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는 성능 이런거 보다는 저전력이 가장 최우선입니다. (배터리 성능을 아주 확올리지 않는 한)
CMOS 회로는 0또는 1을 유지하는 데에는 거의 에너지가 소요되지 않는다는 점은 다들 아실것 입니다.
즉 0→1, 1→0 으로 로직이 넘어가는 순간에만 전력이 소비 됩니다.
이때 로직의 전환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유한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를 Rise time 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소비전력이 주파수에 비례 하는건 당연 합니다.
주파수를 높이면서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라이즈 타임을 줄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압을 낮추는 것입니다.
공정기술이 높으면 이 두가지가 줄어 소비전력도 줄게 됩니다.
공정의 척도를 회로선폭으로 단정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회로선폭과 소비전력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물론 Ghz 대역 에서는 전력이 기하급수로 오르는 현상도 있는데 이는 캐패시턴스 효과 때문이며 구동전압이 낮아질수록 커집니다.
전자로직 에서는 현재 한계에 많이 접근에서 차세대 대안으로 광로직을 구상하고 있지만 이렇다할 성과가 나오기엔 십수년 혹은 수십년은 소요될듯 합니다.
SMP에서는 구조적으로 다중코어가 전혀다른 작업들을 수행할때 거의 도움이 안됩니다.
SMP는 단일 프로그램에서 스레드 다중화를 통한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구상 되었습니다.
따라서 한두가지 작업에 다수의 스레드를 생성하여 과부하가 걸리는 서버에 더욱 적합 합니다.
때문에 스레드 다중화 모델로 설계된 프로그램에 한해서만 성능향상이 가능하죠.
상이한 다중 프로그램에서 효과를 보일수 있는 시스템은 페러렐 프로세싱이 가능한 MPP 시스템이 되며 이는 수퍼컴의 기본구조가 됩니다.
결국에 저전력이라는것은 1기가를 반으로 나눠서 500씩두마리를 만든다고 했을시 효율적으로 분담해서 소모량이 적다는거겠지요. 보니까 500메가도아니고 1기가 두개달려서 나오던데 뜻대로 전력소모가 안일어날까 의문입니다. 그래픽칩셋만만들던 엔비디아라 더욱더 믿음이안가네요. 그래픽칩하고 통합한건가요???? 그리고
속도가 빨라진다는것은 상식적으로 같은시간에 처리할 일이 많아진다는것이므로 전력소모가 꽤 일어날 거라고 할수있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LG텔레콤이라 업데이트도 언제쯤 될지도 기약없고.
현재 스마트폰의 스펙으로 보자면 가상화기능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제외한다면 당분간은 갤럭시s나 디자이어 HD정도로 충분히 쓸거같습니다.
펜티엄D처음나왔을때랑 같은 상황이 올거같아서 그럽니다~~~
안드로이드는 아주 간단한 어플을 만들어도 프레임웍에서 여러개의 스레드가 생성 됩니다.
주로 일을 하는 것은 Main 스레드이고, 그나마 HeapWorker나 Jit Complier 스레드가 일을 하는 편일 겁니다.
물론 (어플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뒤의 둘을 합쳐도 Main 스레드 만큰은 안 되는 게 보통일 겁니다...만,
기본 브라우져에서 사용하는 WebView의 경우엔 WebViewCoreThread가 따로 돕니다.
다른 어플들에서도 시간이 좀 걸리는 작업은 보통 스레드를 띄워서 처리하기도 하고요.
(Main 스레드가 UI 스레드이므로, 스레드로 안 띄우면 처리가 끝날 때까지 먹통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만큼 이런 어플들이나 기본 브라우져에서도, 전체적인 성능 향상이 더 클 수 있겠죠.
그런데 그게 이렇게나 큰 차이가 날 수 있을까...라는 것에는 의구심이 조금 들긴 하네요.
nVidia인 만큼 나오기 전까진 반 만 믿겠지만...
어쨌든 개인적으로는, 체감 응답속도는 크게 향상 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듀얼코어 폰이 나올때까진 뽐뿌견뎌내고 넥원 들고 있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