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게시판 - 잡담, 유머, 창작
(글 수 3,388)
우리는 노트북 컴퓨터를 살 때 인터넷 회사 어디 쓰는지 고민할 필요 없죠. 노트북은 우리 마음에 드는 거 정당한 가격을 주고 삽니다. 그리고 인터넷 회선은 서비스 보고, 지역 사정에 맞게 아무 거나 가입해서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휴대 전화는 지금 이상하게 되어있군요. 물론 제가 휴대 전화 서비스 시스템을 잘 아는 건 아니지만, 소비자의 관점에서 두 개가 분리된다면 아마 다음과 같은 세상이 될 것 같습니다. 뭐 물론 엄청난 돈과 권력을 가지고 있는 이동 통신사들의 압력으로 이런 날이 올 것 같지는 않지만요.
1. 휴대 전화기를 그냥 내가 사고 싶을 때 원하는 모델로 산다. 물론 공짜는 아니지만 지금처럼 출고가 70만원이라고 우기고 2년 약정에 공짜로 팔고는 3개월 안 채우면 출고가 내라고 할 거라는 협박을 받지 않는다. 휴대 전화기사가 바로 소비자에게 제품을 파는 것이면 당연히 가격은 현실화된다. 지금과 같은 출고가에 안 팔릴 테니까.
2. 내가 원하는 아무 통신사나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 집에서는 X 통신사 신호가 잘 잡히지 않는다. 그런데 내가 마음에 들어하는 모델이 X 통신사에 있어서 어쩔 수 없이 X 통신사를 쓰는 일이 없다.
3. 전화기가 표준에 맞춰서 나오면 통신사도 표준에 맞출 수밖에 없다. 인기있는 전화기들이 있는데 Y 통신사에서는 MMS가 안 보내지고 받아진다. 그러면 그냥 고객은 Y 통신사에 가입 안 하면 된다. 잘 되는 Z 통신사에 가입해 원하는 전화기를 쓰면 된다. Y 통신사는 고객이 감소할 것이고, 자기들이 표준을 안 따르고는 못 배긴다.
4. 전화기를 갈고 싶을 때는 3개월이고 뭐고 언제든지 내가 내 돈 주고 산 기계를 제 값에 중고로 팔고 새 모델을 사서 기존 번호 그대로 유지하며 기계만 바꿔 쓴다. 귀찮게 번호 이동이라면서 회사를 옮길 필요가 없다.
5. 전화기가 통신사 자체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는 게 아니라, 통신사가 국제적 통신 표준에 자기를 맞춘다. 제조사는 각 통신사마다 한 제품의 변종들을 만들어 팔 필요가 없이 하나의 제품만 팔게 되어, 제조사는 관리해야 하는 제품이 줄어든다. 당연히 업데이트에 집중하기 쉬워져, 업데이트가 잘 된다.
이런 세상은 꿈인가요?
A programmer, sort of.
직원 : 사장님 저희 통신사 고객수가 줄어들고있습니다.
사장 : 직원 여러분, 저희 회사 서비스의 질을 높여봅시다!!!
.
..
....
는 절대 일어 날 리가 없는게 국내 실정입니다.
직원 : 사장님 저희 통신사 고객수가 줄어들고있습니다.
사장 : 헛소리 그만하고 보조금 더 주고 버스폰좀 더 풀어봐.
.
..
...
이게 맞는말이라는게 참 아쉬운 실정입니다....
우선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에 통신사들은 최대한 서로를 공격 안하려고 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차별화를 두어야 하기때문에 각 통신사별로 제조회사에게 주문을 넣는겁니다.
만약 이러한 구조가 없이 통신사가 서비스만을 제공하게 된다면...
가입자수가 가장 많은 회사에서 치킨게임(가격 낮추기)을 시작한다면
머지안아 다른 통신사가 망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독점의 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물론 지금의 유통구조가 올바르다는건 아니지만 생각할 수 있는 장단점이라는게 있는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