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게시판 - 잡담, 유머, 창작
(글 수 3,391)
[좌절개그] 입주오피스텔 주차장 지붕때문에 게임심의 못받는 대한민국.ㅜ.ㅜ
http://goo.gl/E26q1
뭐 저래서는...애플, 구글, MS, HP 같은 창고에서 창업...이런건 꿈도 못꾸겠군요.
우리나라 탁상행정이라는게 그렇죠 뭐.

2011.01.06 15:01:35
좀 낚시성 기사인듯한데.. 제가 건축관련 일을 많이 했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을 초과한 불법증개축 건물이라도 사실상 사무실은 인정은 되지만
이걸 공무원이 인정한다면 불법건축물을 발견하고도 고발조치하지 않고
묵인해 줬기때문에 업무태만으로 경고같은 징계를 받습니다. 그후, 절대 승진 안됩니다.
어떻게 잘 넘어갔다고 쳐도... 소문이 납니다. 똑같은 사례의 민원이 발생하면
누구는 해주고 뇌물먹었냐..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이럴 때는 옷을 벗습니다.
이런 상황을 공무원의 잘못이라고 볼 순 없을겁니다.
2011.01.06 17:38:52
진짜 순수하게 궁금한게요.
미리 절차를 알아봤다면 몇 단계를 줄일 수 있지 않았나 하네요.
물론 처음하시는 과정이라 아무리 서류를 봐도 빠뜨리는 일이 생기지만
몇 몇 과정은 그런 사소한 실수도 공무원의 잘못으로 모는 듯 해요.
건물 일도 진짜 안타깝네요.
읽고 난 느낌은 개인 개발자는 힘들겠구나...
업체가 있어 그쪽에서 관리만 해주면 모를까...진짜 힘들겠구나..
이 생각이 많이 드네요.
2011.01.07 16:14:31
저두 비슷한 경험이 있는데(게임은 아니고) 그때 느낀점은 공무원들은 자신의 담당일 만큼은 잘 하는것 같습니다.
(딱 한사람에 해당되어서 끝나는 일에만 ). 대신 여러사람에게 걸쳐지는 일은 이리 저리 뛰어다니기 바쁨니다.
(그래도 여기까지는 개안습니다) 정말 걱정이 되는것은. 그러다 보니 새로운 문화가 들어오거나 생겨나면
1)처음에는 자기 업무 영역이 아니니 무관심으로 있다가, 여론이 생기면 그때부터 규제를 합니다.
그리고는 잘못된 내용들이 업무표준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여기서부터 여론이 생기면
앞의 1)로 되돌아 갑니다.(반복)
관심있게 연구를 하거나 잘 자리잡도록 고민하는 흔적을 찾기가 힘들죠.
예를들어 보겠습니다.
제가 2000년 초반부터 정부 홈페이지의 euc-kr을 utf-8로 바꿔야 된다고 정부기관에 민원을 올려도(active-x포함)
참 무관심하더군요. 대답은 euc-kr이 정부표준이니 어쩔수 없답니다.
최근 여론이 아니라 사실상 세계 표준과 맞추려하다보니 안맞는겁니다. 별거 아닌것 처럼
보이는것이 모든분야에서 엄청나게 큰 문제를 들어내고 있었던 겁니다
(국제 sms깨지죠. 외국인들은 한국 홈페이지 안보이죠.
국제 행사하려고 하는데 전광판에 영어/한국어 빼고는 안나오죠... 물론 되게 할 수는 있습니다.
꼼수죠.. 오래된 개발자들은 아실겁니다. 제일 무서운겁니다. 이놈이 미래에 큰 폭탄이 되는겁니다)
최근에 정부에서 바꾼다는 소식이 들리더군요.... 늦었지만 다행입니다.
안타까운것은
분명 DB부터 euc-kr로 뿌리깊이 밖혀 있을건데... 흠집하나 안내고 utf-8로 바꿀수 있을것 같습니까.
물론 시도는 해 보겁니다... 저 경험상 꼼수 아니고는 불가능 하다고 생각 합니다.
(이부분을 자세히 설명할수 있는데 일단 생략하고..)
g4c프로젝트 300억 들어 만들었습니다. 각 은행들도 euc-kr쓰는곳 있을겁니다.
대부분 병원들도 euc-kr입니다... 그리고, 지금 대부분 과거의 거의 모든 자료는 euc-kr입니다.
고작 이놈바꿀려고 다시 돈들인다는거 참 쓸때 없는일입니다.
처음부터 좀 고민했으면 버리지 않아도 될 돈인데 말이죠...
(딱 한사람에 해당되어서 끝나는 일에만 ). 대신 여러사람에게 걸쳐지는 일은 이리 저리 뛰어다니기 바쁨니다.
(그래도 여기까지는 개안습니다) 정말 걱정이 되는것은. 그러다 보니 새로운 문화가 들어오거나 생겨나면
1)처음에는 자기 업무 영역이 아니니 무관심으로 있다가, 여론이 생기면 그때부터 규제를 합니다.
그리고는 잘못된 내용들이 업무표준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여기서부터 여론이 생기면
앞의 1)로 되돌아 갑니다.(반복)
관심있게 연구를 하거나 잘 자리잡도록 고민하는 흔적을 찾기가 힘들죠.
예를들어 보겠습니다.
제가 2000년 초반부터 정부 홈페이지의 euc-kr을 utf-8로 바꿔야 된다고 정부기관에 민원을 올려도(active-x포함)
참 무관심하더군요. 대답은 euc-kr이 정부표준이니 어쩔수 없답니다.
최근 여론이 아니라 사실상 세계 표준과 맞추려하다보니 안맞는겁니다. 별거 아닌것 처럼
보이는것이 모든분야에서 엄청나게 큰 문제를 들어내고 있었던 겁니다
(국제 sms깨지죠. 외국인들은 한국 홈페이지 안보이죠.
국제 행사하려고 하는데 전광판에 영어/한국어 빼고는 안나오죠... 물론 되게 할 수는 있습니다.
꼼수죠.. 오래된 개발자들은 아실겁니다. 제일 무서운겁니다. 이놈이 미래에 큰 폭탄이 되는겁니다)
최근에 정부에서 바꾼다는 소식이 들리더군요.... 늦었지만 다행입니다.
안타까운것은
분명 DB부터 euc-kr로 뿌리깊이 밖혀 있을건데... 흠집하나 안내고 utf-8로 바꿀수 있을것 같습니까.
물론 시도는 해 보겁니다... 저 경험상 꼼수 아니고는 불가능 하다고 생각 합니다.
(이부분을 자세히 설명할수 있는데 일단 생략하고..)
g4c프로젝트 300억 들어 만들었습니다. 각 은행들도 euc-kr쓰는곳 있을겁니다.
대부분 병원들도 euc-kr입니다... 그리고, 지금 대부분 과거의 거의 모든 자료는 euc-kr입니다.
고작 이놈바꿀려고 다시 돈들인다는거 참 쓸때 없는일입니다.
처음부터 좀 고민했으면 버리지 않아도 될 돈인데 말이죠...
2011.01.11 01:17:39
이게 지금은 몇몇 분의 고생으로 끝나겠지만.. 몇년만 지나면 아마추어 게임 개발자분들도 열정이 식고 점차 점차 게임에 대해 도전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어지면 지금 게임업계에서 외화수출하는거? 다 꿈이 됩니다.. 지금이라도 게임등급 심의 간소화 해야 합니다. 아마추어 비영리 게임은 당연히 사후 심사(문제 있다고 고발들어오기 전까지는 심사 없음)로 바꾸어야 하고 오픈마켓의 경우에도 사후심사로 바꾸어야 합니다.
이게 바뀌지 않으면 몇년안에 국내 게임업계도 예전에 만화업계가 그랬던거 처럼 고사되어 버릴겁니다...
이게 바뀌지 않으면 몇년안에 국내 게임업계도 예전에 만화업계가 그랬던거 처럼 고사되어 버릴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