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스토어마다 모바일 게임 자율 심의를 시행하고 있는것 같은데요.
구글링을 해봐도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겠네요.
사전 심의는 없어진것 같던데..
그럼 게임을 만들고 각 스토어에 심의를 신청하는건가요?
게임 실행하면 몇 세 이용가, 폭력성 아이콘 이런 것들이 나오는데 이런건 직접 구해서 넣으면 되는것인지?(법에 저촉되는 부분이라던가 하는 문제는 없나요?)
모바일 게임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런 제도 적인 부분이 너무 어렵네요;;
자율심의는 심의를 자체적으로 받으라는게 아니라 말 그대로 자율인겁니다.
보통 전체이용가로 하시면 됩니다. 다른 기관이나 그런데 등록하고 하실 필요 없어요.
다만 폭력성이나 사행성 요소가 있는 게임이면 게등위 통해서 심사를 받으셔야 해요.
사실 내심 바야바님이 나타나 주시지 않을까 기대를...ㅎㅎ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럼 전체이용가 아이콘 같은것은 게등위 홈피 같은데 있는것을 임의로 구해서 넣으면 되는것인가요? 따로 배포되는 규격이 있는것인지...
카톡 게임들 보시면 거의 대부분 마크 달지 않고 나옵니다.
무슨 마크던 간에 게등위 심사를 받은 게임들만 달면 돼요.
전체이용가인 경우 달지 않으셔도 됩니다.
바야바님 덕분에 답답했던 부분이 시원하게 풀리네요 ㅎㅎ
올해 안에 얼른 출시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로그인 유지
자율심의는 심의를 자체적으로 받으라는게 아니라 말 그대로 자율인겁니다.
보통 전체이용가로 하시면 됩니다. 다른 기관이나 그런데 등록하고 하실 필요 없어요.
다만 폭력성이나 사행성 요소가 있는 게임이면 게등위 통해서 심사를 받으셔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