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개발 정보
(글 수 1,067)
전에 어느분이
http://www.androidpub.com/276502
위와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참 희안한 것은 출시되는 폰들도 마찬가지 일텐데,
별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없네요.
Open Source로 올라간 소스도 16bit로 올라 오던데요.
실제 24bit 칼라와 비교하면 16bit 화질인 많이 떨어지는데요.
비교를 안 해봐서 사용자들이 모르는 건가요?
알고 봐서 그런지 화질 떨어지는 것이 자꾸 눈에 보이네요.
16bit로 하면 메모리나 속도에서 이득이 있겠지만,
품질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인데....
왜 안드로이드는 16bit를 고집할까요?
http://www.androidpub.com/276502
위와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참 희안한 것은 출시되는 폰들도 마찬가지 일텐데,
별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없네요.
Open Source로 올라간 소스도 16bit로 올라 오던데요.
실제 24bit 칼라와 비교하면 16bit 화질인 많이 떨어지는데요.
비교를 안 해봐서 사용자들이 모르는 건가요?
알고 봐서 그런지 화질 떨어지는 것이 자꾸 눈에 보이네요.
16bit로 하면 메모리나 속도에서 이득이 있겠지만,
품질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인데....
왜 안드로이드는 16bit를 고집할까요?
2010.05.07 19:08:14
LCD는 18bit, 20bit 등 실제 24bit 안되는 것이 있는것으로 압니다.
그런데, 출력모드를 16bit로 한것과 24bit로 한것은 차이가 크거든요.
(LCD 쪽으로는 LCD가 지원하는 depth로 가지만요)
실제 영상 출력해 보면 등고선이 보이고 안 보이고 차이나 나구요.
이미지도 화질차이가 확실하답니다.
요즘 PMP들 대부분 24bit 이상으로 출력하는데요.
안드로이드 폰이 멀티미디어를 강조하면서 나온것인데, 16bit로는 화질에서 상대가 안될듯합니다.
Windows CE 쪽을 옛날부터 24bit 지원했었는데요.
이거랑 비교하면 짜증나서 못 볼정도 랍니다.
그런데, 출력모드를 16bit로 한것과 24bit로 한것은 차이가 크거든요.
(LCD 쪽으로는 LCD가 지원하는 depth로 가지만요)
실제 영상 출력해 보면 등고선이 보이고 안 보이고 차이나 나구요.
이미지도 화질차이가 확실하답니다.
요즘 PMP들 대부분 24bit 이상으로 출력하는데요.
안드로이드 폰이 멀티미디어를 강조하면서 나온것인데, 16bit로는 화질에서 상대가 안될듯합니다.
Windows CE 쪽을 옛날부터 24bit 지원했었는데요.
이거랑 비교하면 짜증나서 못 볼정도 랍니다.
2010.05.07 21:14:38
ㄷㄷ 이거 심각합니다.
이미지 리사이즈나 에디팅하는 기능 넣다 보면 후덜덜
당연히 그냥 되야될 단순한 작업이 색깊이 제한 때문에 엄청나게 큰 일이 되버리고 말죠 ;ㅁ;
이미지 리사이즈나 에디팅하는 기능 넣다 보면 후덜덜
당연히 그냥 되야될 단순한 작업이 색깊이 제한 때문에 엄청나게 큰 일이 되버리고 말죠 ;ㅁ;
2010.05.09 19:39:44
Windows CE는 모르겠지만 Windows Mobile 계열은 전통적으로 16비트였습니다.
32비트 기기에서 24비트 단위(3바이트 단위) 처리는 오히려 더 복잡하기에 성능이 크게 하락하고,
32비트 컬러는 24비트보다는 낫지만 16비트에 비하면 메모리 점유량이 2배입니다.
그만큼 메모리도 많이 먹고, 전송량도 늘어나고, 그에 비해 눈에 띄게 확 달라진 장점은 드물죠.
그리고 예전의 기기들은 지금보다 속도도 느리고, 메모리도 많이 부족합니다.
참고로 PMP에서도 동영상 재생시만 24비트 지원하고 일반 프로그램이나 인터페이스에서는
16비트로 처리하는 기종들도 많습니다.
32비트 기기에서 24비트 단위(3바이트 단위) 처리는 오히려 더 복잡하기에 성능이 크게 하락하고,
32비트 컬러는 24비트보다는 낫지만 16비트에 비하면 메모리 점유량이 2배입니다.
그만큼 메모리도 많이 먹고, 전송량도 늘어나고, 그에 비해 눈에 띄게 확 달라진 장점은 드물죠.
그리고 예전의 기기들은 지금보다 속도도 느리고, 메모리도 많이 부족합니다.
참고로 PMP에서도 동영상 재생시만 24비트 지원하고 일반 프로그램이나 인터페이스에서는
16비트로 처리하는 기종들도 많습니다.
2010.05.10 13:03:33
Windows CE 의 경우
동영상은 Overlay 를 따로 쓰기 때문에
동영상은 24bit , UI는 16bit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이미지 뷰어의 경우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에 보통은 UI도 24bit 쓴답니다.
일부 Navi 나 저가의 PMP라면 UI를 16bit로 사용하기도 하겠지만,
주류 제품은 대부분 24bit 쓰고 있는 것으로 알구요.
안드로이드는 동영상도 3D surface에서 출력하는거 같더군요.
그래서 UI(3D)가 16bit 이면 동영상도 16bit 가 되구요.
코드에 보면 overlay 어쩌구 저쩌구 관련 코드가 2.1r2 부터 있던거 같던데요.
혹시 이게 CE 스타일로 바뀌는 것이라면 모르까,
현재 구조에서 안드로이드의 화질 품질은 한참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동영상은 Overlay 를 따로 쓰기 때문에
동영상은 24bit , UI는 16bit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이미지 뷰어의 경우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에 보통은 UI도 24bit 쓴답니다.
일부 Navi 나 저가의 PMP라면 UI를 16bit로 사용하기도 하겠지만,
주류 제품은 대부분 24bit 쓰고 있는 것으로 알구요.
안드로이드는 동영상도 3D surface에서 출력하는거 같더군요.
그래서 UI(3D)가 16bit 이면 동영상도 16bit 가 되구요.
코드에 보면 overlay 어쩌구 저쩌구 관련 코드가 2.1r2 부터 있던거 같던데요.
혹시 이게 CE 스타일로 바뀌는 것이라면 모르까,
현재 구조에서 안드로이드의 화질 품질은 한참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2010.05.11 18:45:56
보통 모바일 칩셋에서 동영상용으로 OSD 레이어를 몇개정도 제공합니다.
보통 YUV레이어와 RGB로 된 OSD 레이어를 지원하는데 동영상은 YUV레이어단에서 지원하고 UI는 RGB에서 지원합니다.
그래서 UI단과 동영상단이 뎁스가 다를수 있습니다.
2010.05.15 04:27:40
framebuffer 구조를 사용하는 안드로이드에서 비디오메모리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제약과 성능상의 이유로 16비트를 사용할것으로 추정됩니다.
추후 메모리와 클럭등이 올라가면 어느순간 24비트를 사용하겠지요.
그리고 우려하신대로 동영상에서는 등고선이 많이 보이겠네요.
추후 메모리와 클럭등이 올라가면 어느순간 24비트를 사용하겠지요.
그리고 우려하신대로 동영상에서는 등고선이 많이 보이겠네요.
안녕하세요. 저도 얼마전에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가 16bit-depth로 동작하는것에 의아해했었는데요.
뭐 에뮬이야 속도때문에 그렇다 치고...
지금 전 LG안드로-1을 사용중인데, 스펙을 보니 LCD color depth 값이 18bit더라구요.
그래서 혹시 소스상에서 알파포함 32bit인 경우는 os단에서 18bit로 다운시켜서 내보내고,
16bit인 경우는 업시켜서 출력시키나부다. 하고 생각했거든요.
뭉뚱그려서 소스단에서 설정을 해도 최종 하드웨어단에서는 LCD 출력값에 맞게 변경되지 않나?
생각했었답니다. ..........혹시나 이게 맞는지 걍 여쭤봤습니다. ^_^ 건강하세요~